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 공천제도 개혁 놓고 정청래·박찬대 ‘미묘한 온도차’

“억울한 컷오프 없애자” vs “무자격자 난립 막아야”… 검증과 공정성 사이에서 공천의 미래를 묻다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경선이 본격화되면서, 공천제도를 둘러싼 후보 간 입장 차이가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정청래 후보와 박찬대 후보는 ‘컷오프(공천배제)’ 제도의 운용 방향에 대해 상반된 시각을 보이며, 당내 공천 혁신의 방식과 기준을 놓고 의미 있는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

 

 

정청래 후보는 “수렴하고 혁신하겠다”는 기조 아래, 검증을 통과한 후보에게는 경선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그는 “억울한 컷오프는 없어야 한다”며, 무자격자는 철저한 검증 절차를 통해 걸러내되, 자격 있는 인물에게는 경선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 후보가 말하는 ‘노컷 공천’은 검증을 생략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당의 기준을 충족한 후보에게 정치적 이해관계나 내부 정치에 따른 컷오프가 적용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정 후보는 지난 총선에서의 공천 기준을 예로 들며, “성범죄, 음주운전, 직장 갑질, 학교폭력, 혐오 발언 등은 당의 기준에 따라 무자격자로 분류되어 경선에조차 참여할 수 없었다”며, 검증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무자격자는 애초에 경선 대상이 될 수 없다. 억울한 컷오프는 당원의 권리를 침해하고 당의 신뢰를 떨어뜨린다”고 지적했다.

 

반면 박찬대 후보는 정 후보의 ‘노컷’ 주장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무자격자의 난립과 구태정치 부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박 후보는 “억울한 컷오프를 없애야 한다는 명분에는 공감하지만, 검증 없는 경선은 오히려 당의 기준을 무너뜨릴 수 있다”며, 자격 없는 인물에게 출마 기회를 주는 것은 공천 혁신이 아니라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후보는 공천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방향성을 분명히 하며, 당 기여도와 충성도, 도덕성 등을 반영하는 방식의 공천 혁신안을 구상하고 있다. 그는 “노컷이라는 구호 자체가 퇴출 대상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방식으로 비칠 수 있다”며, “현혹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서라도 그런 표현은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후보 모두 당의 공천 시스템에 문제의식은 공유하고 있지만, 그 해법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정청래 후보는 절차적 공정성과 당원 주권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 반면, 박찬대 후보는 당의 윤리성과 조직 관리의 관점에서 공천 기준을 강화하자는 입장이다.

 

이번 논쟁은 단지 한 차례 공천 방식을 둘러싼 이견을 넘어, 민주당의 공천 시스템이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철학과 전략의 차이를 보여준다. 유권자와 당원들은 이 두 시각 중 어떤 방향이 당의 쇄신과 신뢰 회복에 더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제도 개편은 단순한 기술적 조정이 아니라, 당의 정체성과 신뢰를 결정짓는 중대한 정치적 선택이다. 정청래, 박찬대 두 후보의 입장 차이는 그만큼 중요한 담론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