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천안시의회는 18일 열린 제281회 천안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엄소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성거읍·부성1동)이 5분 발언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실질적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과 지원체계 강화를 촉구했다고 밝혔다.
엄소영 의원은“청각장애인은 병원, 경찰서 등 공공기관에서 수어통역이 제공되지 않아 의료·행정 서비스 이용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존과 권리에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현재 천안시에 등록된 청각장애인은 약 4,300명에 달하지만, 이를 지원하는 수어통역사는 단 6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엄 의원은 “통역사 1명이 700명 이상을 담당하는 현실은 수요에 대응하기에 현저히 부족한 구조”라며, “일부 시민은 통역을 기다리다 결국 행정 서비스를 포기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난 6월 K-컬처 박람회 등 주요 행사에서도 청각장애인을 위한 정보제공 체계가 미비해 참여에 제약이 있었다는 현장 사례를 언급하며, 정책 전반의 접근성 제고를 촉구했다.
엄 의원은 제도 개선 방안으로 ▲수어통역사 확충 및 긴급상황 대응 연계체계 구축 ▲청각장애인 당사자 의견을 반영하는 정기 협의체 구성 ▲시각자료·쉬운 글쓰기 등 다양한 행정 정보전달 방식 도입 등을 제안했다.
특히 “청각장애인 부모가 자녀의 학교생활이나 건강 문제를 놓고 교사·의료진과 충분히 소통하지 못해 양육과 돌봄 전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책 설계 시 가족 단위의 복합적인 수요를 고려할 것을 강조했다.
엄 의원은 “청각장애인이 차별 없이 정보를 접하고, 안전하게 생활하며, 사회에 당당히 참여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체계가 시급하다”며, “천안시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도시’를 향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