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오산시가 ‘세교3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이하 세교3지구)과 관련해 국토교통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중토위)의 공익성 심의를 통과하며 지구 지정 추진에 결정적 전기를 마련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 절차 통과를 넘어, 민선 8기 이권재 시장의 선제적이고 치밀한 시정 운영이 결실을 맺은 성과로 평가된다.
세교3지구는 과거 2009년 지구지정 이후 2011년 지정이 취소된 바 있어, 재추진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이권재 시장은 시장 취임 초기부터 세교3지구를 민선 8기의 핵심 공약사업으로 천명하며 ‘지구지정 부활’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 시장은 탁상행정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찾아가며 실질적인 협의와 건의를 이어갔다. 일명 ‘오산시 제1호 세일즈맨’이라는 별칭에 걸맞게 발로 뛰는 행정을 실천하며 사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감과 지원을 이끌어낸 것이다.
이권재 시장의 전략은 단순한 지역 개발이 아닌 ‘50만 자족형 커넥트 시티’라는 미래 청사진을 바탕으로 설득력을 강화한 점에 있다. 고속도로 IC 신설, 약 30만 평 규모의 테크노밸리 조성, 통합하수처리장 우선 설치 등 핵심 인프라에 대한 청사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세교3지구가 단순한 주거지 개발을 넘어 첨단산업과 자족기능을 갖춘 미래형 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는 논리를 국토부에 꾸준히 설파했다.
특히 지난해 11월, 정부의 중장기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따라 세교3지구(서동 일원 431만㎡, 약 3만1천호 규모)가 신규 주택 공급대상지로 선정된 데에는 이 같은 설득과 전략적 대응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지난 6월 26일, 세교3지구는 중토위 공익성 심의를 통과하며 사실상 지구지정까지의 ‘8부 능선’을 넘어섰다. 이는 사업의 본격 추진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확보한 것이며, 향후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및 관계부처 협의 등 남은 절차에 대한 동력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됐다.
이에 대해 이권재 시장은 “세교3지구는 오산이 인구 50만의 자족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첫 관문이자 기반”이라며, “지구지정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권재 시장의 시정 운영은 개발을 위한 개발이 아니라, “시민 중심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에 방점이 찍혀 있다. 세교3지구를 포함한 각종 인프라 구축은 단순한 외형 확장을 넘어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자립을 위한 큰 그림 속에 있다.
지방정부의 행정력만으로는 풀기 어려운 과제를 중앙정부와의 유기적 협조를 통해 해결해 나가는 이 시장의 실용적 리더십은 향후 세교3지구의 성공적 추진뿐만 아니라 오산시의 미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