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정치의 중심에 청년을 세우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힌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청년정책에 대한 구체적 비전을 제시했다. 정 의원은 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위원장 모경동)와 체결한 정책협약서를 통해 “청년이 중심 되는 정당, 청년이 이끄는 정치”를 실현하겠다는 약속을 내놓으며 정치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정청래 의원은 자신이 청년 시절 국회에 입성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이제는 다음 세대의 ‘디딤돌’이자 ‘사다리’가 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청년이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고 말하며, 정치의 모든 과정에 청년의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청래 의원의 청년정책의 핵심은 단순한 청년 우대가 아닌, 청년 중심의 구조 전환이다. 이를 위해 그는 ‘청년담당부’를 신설해 청년 정책을 전담하는 공식 기구를 만들고, 정당 내 청년 기구의 독립성과 실질 권한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공직선거 후보 추천 과정에서 청년후보 직선 추천위원회를 신설해 청년 정치인의 진입장벽을 낮출 계획이다.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도 추진한다. 청년당원의 기준을 만 18세에서 39세로 명확히 정의하고, 청년공천 의무 조항의 실효성을
【안산=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더불어민주당 김현 국회의원(경기 안산시 을)은 7월 31일, 최근 국회 활동과 지역 현안에 대한 추진 성과를 소개했다. 김 의원은 “민생경제 회복과 안산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쉼 없이 일하겠다”는 각오를 밝히며 시민과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이번 의정은 영상을 중심으로, 주요 언론 보도를 인용한 설명을 곁들여 정책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보고회에서는 최근 국회에서의 주요 입법 성과와 더불어, 지역구 안산을 위한 현안 대응 및 생활 밀착형 정책들이 상세히 소개되었다. 먼저, 김 의원은 방송 개혁의 핵심 법안인 이른바 ‘방송 3법’이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한 사실을 전하며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과 국민 참여 확대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방송 3법은 공영방송을 권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국민의 품으로 되돌리는 개혁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새로운 미디어 감독기구인 ‘시청각미디어통신위원회’를 신설하는 법안을 함께 발의하며, 방송뿐만 아니라 OTT·디지털 콘텐츠 등 전반적인 미디어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적 거버넌스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성남=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청솔중학교 부지를 둘러싸고 지역사회 내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경기도교육청국제교육원(이하 국제교육원)이 폐교된 청솔중학교 부지로의 이전을 추진하면서, 지역 주민과 학부모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김병욱 지역위원장(더불어민주당, 분당을)은 국제교육원의 청솔중 이전 계획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지역 주민의 충분한 의견 수렴 없는 졸속 행정은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청솔중학교는 분당 신도시 개발 이후 설립된 학교 중 최초로 폐교된 사례로, 학령인구 감소라는 전국적 흐름 속에서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폐교 결정 이후 이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는 향후 유사 사례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며, 국제교육원 이전과 같은 일방적인 행정보다는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청솔중학교 부지가 미금역과 정자역 사이, 탄천변에 인접한 분당의 핵심 요지임을 강조하며, “이처럼 뛰어난 입지 조건의 부지를 연수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수백억 원이 투입되는 데 비해 효율성 면에서 매우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청솔중학교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용인시병)은 21일, 예비역 장성이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기 위해 전역 후 최소 10년이 지나야 한다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국방부 장관의 문민통제를 강화하고, 군내 인맥·군맥 형성 등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시나 국가 비상사태의 경우 예외를 두어 대통령의 인사권은 보장한다. 부 의원은 “이번 법안은 국민의 군대로 가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군이 헌법과 국민에 충성하는 구조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법안은 박지원, 김준형, 추미애, 정동영 등도 공동 발의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