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대구 노곡동에서 또다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2010년 7월 집중호우로 피해를 겪은 바로 그 지점에서 15년 만에 유사한 사고가 반복된 것이다.
자연재해라는 말로 넘기기엔 예측 가능한 사고였다. 이번 사태는 대구시의 도시 관리 시스템이 아직도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음을 여실히 드러낸다.
핵심은 대구시 도시관리본부의 구조적 문제다.
현재 도시관리본부는 체육시설 관리, 공원 관리, 시설 안전 관리 등 업무 성격이 전혀 다른 기능을 한 조직에 묶어두고 있다. 공공시설 관리, 재난 안전, 환경 유지 등 서로 다른 전문성이 요구되는 영역이 한데 섞여 있어 책임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업무 효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번 노곡동 사태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로서, 현장을 총괄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부서와 실제 시설물을 관리해야 하는 부서 간 협업 체계는 허술했고, 경보 시스템이나 대응 매뉴얼도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못했다. 하천 상·하류 관리가 분절되어 있어 예측 가능한 위험조차 통합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점은 치명적이다.
더 큰 문제는 15년 전 사고가 이미 ‘예고편’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그동안 도시관리본부는 큰 틀의 개선 대신 부분적 조치와 임시 대응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재난 대응은 ‘땜질식 처방’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작은 징후를 무시하면 결국 큰 사고로 이어진다는 ‘하인리히의 법칙’은 행정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는 대구시의회 조경구 의원(수성구2)이 제321회 정례회 2차 본회의 5분자유발언을 통해 지난 2010년 7월 17일 노곡동 집중 호우로 인한 피해 발생을 언급하며 "15년 만에 같은 장소에서 사고가 재발해 대구도시관리본부의 안전 대응 시스템에 우려가 있는 상황이다."며, “이번 사태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관리 체계의 미비와 부서 간 협조 부족 등 여러 행정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힌 인재(人災)”라고 강조한 내용이다.
이제 대구시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도시관리본부의 기능을 재난 대응 중심으로 재편하고, 전문성과 효율성을 기준으로 업무 구조를 분리해야 한다. 상·하류 통합관리, 배수펌프장 운영 인력 확충, 재난 대응 교육 강화 등도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무엇보다 위험 요소를 발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노곡동에서 일어난 일은 결코 ‘우연한 재난’이 아니다.
관리 체계의 허점, 부서 간 소통 부재, 조직 구조의 비효율이 반복된 결과다. 이번 사태가 또 하나의 재난으로 지나가서는 안 된다.
대구시는 지금의 구조가 시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체계인지 냉정하게 돌아봐야 한다.
노곡동에서 흘러든 물은 자연에서 온 것이지만,
사고를 키운 것은 사람의 책임과 무관심이었다.
그렇다면 재발을 막는 것 역시 사람과 조직의 역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