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남도, ‘진주 호국사 괘불도 및 괘불함’ 도 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전통불화 기법과 근대회화 기법이 조화를 이룬 대형 불화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경상남도는 2일 ‘진주 호국사 괘불도 및 괘불함’을 도 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했다고 밝혔다.

 

‘진주 호국사 괘불도’는 높이 940cm, 폭 630cm의 대형 불화로 화기(畵記) 명문을 통해 1932년 호국사 봉안을 위해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괘불함’은 길이 680cm, 높이 37cm, 두께 3cm의 규모로 괘불도를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 함이다.

 

괘불도는 호국사에서 큰 법회 시 야외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화면 중앙에 부처를 중심으로 협시보살과 가섭·아난존자 등 오존(五尊)으로 간략하게 구성된 영산회상도 형식의 불화로 면포(綿布) 위에 채색했으며 상단의 중앙과 좌우에 비단으로 만들어진 복장낭이 걸려있다.

 

조선 후기 불화에서 자주 사용되던 전통적인 안료를 사용한 색조와는 달리 인공적인 느낌의 색조가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福자와 卍자가 그려진 길상문 및 복식에 그려진 매화문이나 석류문 등 근대기의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괘불도 제작에 수화승으로 참여한 보응문성(普應文性)은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전반 충청도를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활발하게 활동한 화승으로 합천 해인사 괘불도를 비롯한 5점의 괘불도 조성에 참여한 바 있다.

 

‘진주 호국사 괘불도’는 20세기 전반 제작된 불화로 제작자와 제작시기가 명확하고 근대기 회화 양식의 특징이 잘 어우러진 작품으로 전통불화의 기법과 근대성의 특징인 원근법, 음영법 등 사실적 회화기법 등 시대상이 반영된 불화의 변화양상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진희 경남도 문화유산과장은 “이번 등록 예고는 시대상이 잘 반영된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근대문화유산을 등록하여 보존, 관리하기 위한 절차이다”면서, “도 등록문화유산 등록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경상남도는 도 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 “진주 호국사 괘불도 및 괘불함”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 · 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