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첫 예산안(2026년·총지출 728조 원)은 미래 성장 투자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인공지능(AI), 임대주택, 기후변화 대응 등 장기적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분야에 대폭 투자를 늘리는 한편, 원자력과 민자도로, ODA(공적개발원조) 등은 감축했다.

총지출 728조 원, 예비비 75% 확대
2026년 예산안은 지난해보다 55조 원 증가한 728조 원으로, 증가율은 8.1%에 달한다.
특히 예비비는 75% 확대됐으며, AI·기후·철도·임대주택 등 공공투자 성격의 항목에 집중됐다.
반면 원자력, 민자도로, ODA 등 단기 소비성 또는 민간 중심 지출은 줄었다.
AI·디지털 분야에 미래형 투자 집중
통신 분야 예산은 30.8% 증가, ‘인공지능데이터진흥’ 예산은 3조850억 원으로 370% 급증했다.
대폭 삭감됐던 AI 투자를 회복하며 디지털 전환과 미래 기술 투자에 방점을 찍었다.
과학기술·기초연구 강화
과학기술 분야 예산은 2조 원(18.8%) 증가했다.
미래유망 원천기술과 기초연구 중심으로 예산을 확대한 반면, 원자력 진흥 예산은 14.5% 삭감됐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 연구 예산은 27.2% 증가하며, 장기적 기술·사회 문제 대응 투자로 전환됐다.
산업·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복원
산업·중소기업·에너지 분야 예산은 4조1천억 원(14.7%) 증가했다.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투자가 84% 확대,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예산도 52% 늘어 장기 성장형 산업 육성을 목표로 했다.
공공교통·임대주택 중심 투자
철도 예산은 1조8천억 원(26.3%) 확대됐고, 민자도로 예산은 60.6% 삭감됐다.
주택정책도 ‘분양·구입’ 중심에서 임대주택 중심으로 전환됐다.
임대주택 융자 예산은 15.9%, 출자 예산은 182.4% 증가해 미래형 공공주택 투자를 강화했다.
기후변화 대응 예산 확대
기후 관련 예산은 4조5,523억 원(21.8%)으로 늘었다.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프로그램이 복원되면서, 장기적 기후 대응과 녹색산업 투자가 확대됐다.
외교·ODA는 축소, 통일 분야는 확대
ODA 예산은 1조2천억 원(-18.5%) 줄었지만, 통일부 예산은 19.6% 늘어 남북협력 등 전략적 장기 투자 분야에 집중됐다.
‘투자형 예산’ 구조로 전환
이번 예산의 가장 큰 특징은 자본적 지출 확대다.
지분취득비가 523%, 출자금이 117% 증가하며, 단기 소비성 지출보다 장기 수익과 성장 잠재력이 있는 투자형 재정으로 전환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