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시민의 경고를 무시한 행정이 재난의 원인이 됐다는 지적과 함께 광주 도심의 물길을 다시 열어 기후위기 도심 침수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안평환 의원(북구 중흥동·중흥1동·중앙동·임동·신안동)은 21일 제337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 광주가 다시 흘러야 한다”며 도시 안전 대전환을 촉구했다.
안 의원은 이날 시정질문에서 물순환 회복, 복개하천 복원, 주민참여형 재난대응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며 “행정이 시민의 눈높이에서 물길과 생명의 도시를 다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7월 신안교 일대 침수 피해를 언급하며 “이번 침수는 하천 범람이 아닌 내수침수의 결과”라며 “시민들이 여러 차례 배수 문제를 제기했지만 행정은 설계상 문제없다며 사업을 강행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홍수방어벽은 시민의 안전을 위한 시설이지만, 배수 대책이 없는 방어벽은 오히려 위험을 키운다”며 “시민의 경고에 귀 기울이는 행정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시가 추진 중인 물순환 선도도시 정책의 성과와 한계도 짚었다.
안 의원은 “광주가 상무지구를 중심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며 일정한 성과를 거뒀지만, 신안동 등 침수 취약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했다”며 “극한 강우에 대응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행정의 한쪽 손은 시민의 혈세로 하천에 물을 채우고, 다른 손은 깨끗한 지하수를 버리며 하수도 요금을 부과한다”며 “물순환 정책의 실효성을 담보할 통합관리 체계와 평가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제는 물을 막는 도시에서, 스며들고 순환하는 도시로 바꿔야 한다”며 “기존의 회색 인프라(저류조, 배수관) 중심 정책을 녹색 인프라(LID·저영향개발)와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안 의원은 “녹색 인프라는 단발적·지엽적으로 추진되어선 안 된다”며 “도시계획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확대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복개하천 복원의 필요성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안 의원은 “복개하천 복원은 단순히 미관을 위한 사업이 아니라 도시의 물순환을 회복하고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근본적 대책”이라며 “광주가 예산과 교통문제를 이유로 장기과제로 미루는 동안, 다른 도시들은 단계별 복원과 공공·민간 협력으로 해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특히 전주 노송천, 부천 심곡 시민의강, 수원천 등 복원 성공 사례를 언급하며 “광주도 시범사업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일본의 ‘자조–공조–공조’ 삼중 방재모델을 소개하며 주민참여형 재난 대응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안 의원은 “재난 현장에서는 행정의 손보다 시민과 이웃의 손이 먼저 움직인다”며 “고령자와 사회적 약자 등 취약계층을 이웃이 함께 대피시키는 시스템이 광주에서도 정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재난 대응 전문인력을 자치구별로 배치하고, 국지성 피해 시 인근 자치구 간 상호 파견체계를 구축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안 의원은 “복개하천 복원은 단순한 공사가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돌려주어야 할 생명의 길”이라며 “오늘 우리가 물길을 열지 않는다면, 내일의 아이들은 숨 막힌 도시 속에서 기후의 분노를 견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제 광주는 다시 흐르는 물처럼 변화해야 한다”며 “멈춰 있던 도시의 시간을 다시 움직이게 할 첫 번째 물길의 회복이 광주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