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현장은 국가 인프라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현장 중 하나다. 수많은 노동자들이 땀을 흘리며 공공시설과 건물을 짓고, 도로를 닦는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은 최우선 가치로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
매년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 상당수가 기본적인 안전수칙 미준수에서 비롯된다. 추락, 감전, 낙하물 사고, 장비 오작동 등 대부분은 충분히 예방 가능한 사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은 오늘도 위험을 무릅쓰고 공사 현장으로 향한다.
‘속도보다 안전’이 먼저다
건설업은 시간과 비용에 쫓기는 일이 많다. 공기 단축, 예산 절감을 이유로 안전 설비와 교육이 후순위로 밀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빠른 공사보다 중요한 것은 단 한 사람의 생명이다.
실제로 여러 현장에서 다음과 같은 위험한 사례들이 반복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고소작업 시 안전벨트 미착용
안전모, 안전화 등 보호구 미지급 또는 미착용
장비를 인력 운반 수단으로 사용하는 불법 행위
현장 관리자의 안전 점검·감독 소홀
이러한 행위들은 모두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소지가 있으며, 명백한 법률 위반이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생명을 지키는 최소한의 장치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제34조: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안전난간, 발판, 추락 방지망 등을 설치
제38조: 근로자에게 보호구 지급 및 착용 관리
제41조: 위험 작업 전 사전 교육 및 안전조치
이 법의 존재 이유는 단 하나다. 근로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다. 이 규정들이 지켜지지 않는 순간, 산업재해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사고’가 아니라 ‘예고된 인재(人災)’가 된다.
근로자는 생계를 위해 일하지만, 결코 목숨을 담보로 일해야 하는 존재가 아니다.
안전한 작업환경은 근로자의 권리이며, 사업주의 의무다.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장비이며,
안전벨트는 추락사고를 막는 생명줄이다.
관리감독자는 매일 현장을 점검하고, 위험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기본이 지켜질 때, 비로소 ‘현장’은 ‘일터’가 될 수 있다.
️사고 없는 현장을 위한 4가지 실천 과제
사업주의 안전 투자 확대
안전 장비·시설에 대한 비용을 아끼지 말아야 함
정기적이고 실질적인 교육 실시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실제 상황에 맞는 안전 훈련 필요
근로자의 권리 보장
위험 작업에 대한 거부권, 보호구 지급 요청 등을 보장
정부의 감독 및 제재 강화
안전 수칙 위반 사업장에 대한 적극적 점검과 제재 필요
산업재해, 막을 수 있다면 반드시 막아야 한다
매년 수백 명의 근로자들이 산업재해로 사망하거나 크게 다친다. 그러나 이 중 대부분은 철저한 예방과 교육, 관리 감독만 이루어졌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사고들이다.
“사고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는 인식은 “사고는 예방할 수 있다”는 책임 있는 자세로 바뀌어야 한다.
️ ‘안전은 생명에 대한 존중’
공정을 맞추는 것도, 예산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한 사람의 생명이다.
현장의 속도보다, 예산보다, 효율보다 먼저 고려돼야 할 것은 단 하나, 안전이다.
근로자가 건강하게 일하고, 무사히 귀가할 수 있는 사회
그것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기준이다.
"현장 근로자, 안전이 먼저다."
이 문장이 모두의 상식이 되는 그날까지, 실천은 계속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