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안성시, '청년! 전통을 잇다' 한국 전통문화 중심의 청년 문화교류 활발

청년 교류가 만드는 지속가능한 전통문화..전통, 새로운 감각을 입다

현대와 전통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한국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청년 문화교류 프로그램이 국내외 청년들 사이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전통문화의 계승과 국제적 소통을 동시에 이루는 이들 프로그램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미래 세대가 전통문화를 새롭게 해석하고 세계에 알리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안성시는 ‘2025 동아시아문화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9월 15일부터 18일까지 일본 가마쿠라시에 청년 대표단을 파견해 전통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청년 대표단은 가마쿠라 대불, 쓰루가오카 하치만궁 등 주요 문화유산을 탐방하고, 야부사메 관람, 다도 체험 등 일본 전통문화를 직접 경험할 예정이다. 특히 가마쿠라 여자대학과의 교류 행사를 통해 양국 청년 간 문화 소통의 장도 마련된다.

 

한편, 안성시는 오는 10월 12일 ‘2025 동아시아문화도시 안성 폐막식’을 개최하고, ‘동아시아 전통연희 페스티벌’도 함께 열어 한·중·일 문화 교류를 이어갈 계획이다.

 

청년의 눈으로 바라본 전통, 새로운 감각을 입다
최근 전주, 경주, 서울 북촌 등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는 지역에서는 국내외 청년들이 함께 모여 한복 체험, 국악 워크숍, 전통 공예 제작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문화교류 캠프가 이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재청,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등이 주관하는 이 프로그램들은 문화유산을 매개로 한 청년 간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지난 8월 개최된 ‘2025 글로벌 청년 전통문화 교류캠프’에서는 10개국 50여 명의 청년들이 함께 한지로 미디어 아트를 제작하고, 한국의 전통의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퍼포먼스를 선보여 큰 주목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단순히 과거의 유산이 아닌, 미래 세대의 창의성과 연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직접 보여주었다.


특히 SNS, 유튜브, 숏폼 영상을 통한 전통문화 콘텐츠 확산은 이 프로그램들의 또 다른 특징이다. 청년 참가자들은 체험한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영상, 카드뉴스, 브이로그 등을 제작해 전 세계에 공유한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 전통문화를 보다 친숙하고 세련되게 전달하며, K-문화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전통문화가 청년들의 감각을 통해 새롭게 해석될 때, 비로소 그것은 ‘살아있는 문화’가 된다”며 “전통과 청년이 만나는 지점에서 대한민국 문화의 미래가 보인다”고 전했다.


청년 전통문화 교류 프로그램은 단기적인 체험을 넘어, 지속적인 글로벌 커뮤니티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참가자들 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공동 프로젝트, 교류 협업, 콘텐츠 공동 제작 등 후속 활동이 이어지며, 전통문화가 실질적인 국제 교류의 매개체로 작동하고 있다.

 

전통은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이어가는 것이다. 청년들의 눈과 손을 통해 살아나는 한국의 전통문화는, 이제 세계 속 새로운 언어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전통문화 #한국전통 #문화유산 #한복체험 #국악워크숍 #전통공예 #청년문화교류 #글로벌청년캠프 #한류세대 #문화소통 #청년네트워크 #K컬쳐글로벌 #전통의재해석 #살아있는문화 #청년의시선 #전통X미래 #K전통미디어아트 #한지미디어아트 #K문화콘텐츠 #전통숏폼 #전통브이로그 #SNS로보는전통 #K컬쳐크리에이터 #지속가능한전통 #문화의미래 #전통의계승 #미래세대와전통 #문화공동체 #KTraditionalCulture #YouthCultureExchange #CulturalHeritage #KHeritage #TraditionMeetsModern #LivingTradition #KCultureCreators #KoreanCultureGlob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