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칼럼] 노년의 의식주를 지키는 일이, 청년의 소비를 살리는 길이다

대한민국은 지금 '두 개의 경제' 사이에 놓여 있다. 하나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노년층의 생계와 복지 문제, 다른 하나는 청년층의 소비 위축과 경기 둔화다. 얼핏 보면 전혀 다른 두 세대의 이슈처럼 보이지만, 이 둘은 놀랍도록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지금 우리가 직면한 경제의 본질은 단순히 돈이 돌지 않는 것이 아니다. 불안이 돈을 멈추게 하고, 세대 간 불균형이 소비를 멈추게 한다.

 

청년들의 소비가 위축된 이유는 명확하다. 미래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결혼, 출산, 주거, 노후 모두가 ‘개인 책임’으로 떠넘겨진 사회에서 청년은 ‘지출’을 두려워한다. 저축이 아니라 ‘생존’이 되어버린 저축, 소비를 포기하고 준비하는 ‘불안한 미래’는 곧 내수 경제의 위축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중요한 전환의 실마리는 노년층의 삶의 질 보장에 있다.

노인의 의식주가 국가에 의해 최소한으로 보장된다면, 청년은 더 이상 부모 세대의 노후를 떠맡을 걱정 없이 자신의 삶에 집중할 수 있다.

 

현재 청년들의 소비는 단순한 ‘소득 부족’ 때문만은 아니다. 부모의 병원비, 생활비, 간병, 임대료 등 ‘확정되지 않은 책임’에 대한 불안감이 청년의 삶을 억누르고 있다. 이 불안은 저출산으로 이어지고, 장기적으로는 더 큰 복지 비용과 생산 인구 감소를 초래하며 국가 경제 전체를 잠식한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세대 간 대립이 아닌 세대 간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일이다.

 

노년의 안정이 청년의 소비를 만들고,

청년의 소비가 기업의 매출이 되며,

그 매출이 다시 일자리가 되어 사회 전체를 건강하게 만든다.

 

결국 노년 복지는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니라, 적극적인 ‘경제정책’이다.

 

의식주가 해결된 노인은 소비 주체로도 기능하며, 청년에게는 미래의 불안을 덜어주는 든든한 방패가 된다.

 

경제는 고립된 세대의 문제가 아니다. 연결된 삶의 흐름이다.

노인의 삶을 책임지는 일이 곧 청년의 지갑을 열게 하고, 이는 다시 대한민국 경제의 숨통을 틔우는 일이다.

 

‘노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나라’, 그곳에서 비로소 청년은 소비하고 꿈꾸고 살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