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수원의 오래된 꿈, 영화지구 개발이 마침내 현실로 다가왔다.

지난 9월, 수원 영화문화관광지구가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로 최종 선정되면서, 20년 가까이 답보 상태에 머물던 이 사업은 본격적인 첫 발을 내디뎠다.
이번 선정의 배경에는 단순한 지역의 필요성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중앙정부와의 지속적인 협의, 그리고 지방정부와 정치권의 전략적 연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김승원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시갑)은 국토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와 수개월에 걸쳐 정밀하고 끈질긴 협의를 이어왔다. 단순히 예산을 요청하는 수준이 아닌, 영화지구가 갖는 도시재생 모델로서의 가치, 문화관광 클러스터로서의 가능성을 논리적으로 설득해냈다는 평가다.
수원시와 수원도시공사, 경기관광공사 등 실무기관들과의 유기적인 협업도 빛났다.
지방정부의 계획이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기까지는 언제나 복잡한 이해관계와 치열한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영화지구 선정은 단지 국비 250억 원, 도비 50억 원의 재정 지원을 확보한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수원시가 국가 도시재생 정책의 중심부로 들어섰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진전이다.
영화지구는 향후 문화 콘텐츠 산업, 관광, 지역상권 활성화까지 연계될 수 있는 종합 플랫폼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관광객 연간 10만 명 이상 유치, 부가가치 746억 원, 생산 유발 1,800억 원 이상이라는 수치는 단지 기대효과를 넘어, 수원의 도시 브랜드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이번 성과는 우리에게 몇 가지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첫째, 지역 현안이라 해도 국가정책의 문맥 속에서 해석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중앙정부와의 협의는 ‘한 번의 요청’이 아닌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대화를 전제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 시민의 오랜 기대와 지지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행정과 정치가 하나로 연결될 때, 지역의 오랜 숙원이 현실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이번 수원 영화지구 사례가, 타 지자체에도 하나의 유의미한 모델로 남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