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4일, 서울시는 최근 “서울시는 원안대로 시네마테크 건립을 추진하라”는 제목으로 보도된 기사(스포츠경향 보도)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해당 보도에는 영화감독 박찬욱, 봉준호 등 11인의 감독과 12개 영화단체를 포함한 영화인 및 관객 1,000여 명이 참여한 서명운동이 소개되며, 서울시의 시네마테크 사업 변경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서울영화센터는 위원회 심의와 법적 절차를 거쳐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되고 있다”며 “시민 모두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공공 문화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명칭 변경 및 기능 조정, “절차에 따른 정당한 결정”
서울시는 ‘서울시네마테크’에서 ‘서울영화센터’로의 명칭 변경과 기능 일부 조정은 2023년 5월 출범한 영화계 인사 중심의 운영자문위원회와 서울영상진흥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영화산업 환경을 반영한 조정으로, 「서울특별시 영상진흥 조례」에 근거해 법적 절차에 따라 추진됐다는 입장이다.
위탁 운영 논란에 “공공성·중립성 확보 위한 결정”
보도에서 제기된 “민간 독립 운영을 배제한 채 서울경제진흥원에 위탁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서울시는 반박했다. 서울영화센터는 공유재산으로 분류되는 공공시설로서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과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에 따라 안정적인 운영과 공공성 확보를 위해 서울경제진흥원이 운영을 대행하도록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전·사후 심의’ 조항, “검열 아닌 공공 운영의 일환”
상영작에 대한 ‘사전·사후 심의’ 조항이 검열에 해당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서울시는 이는 “지방계약법상 계약 이행 관리·감독을 위한 일반적인 조치이며, 공공시설 운영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담보하기 위한 절차”라고 해명했다. 해당 조항은 2025년 5월 발족한 서울영화센터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 “영화인과 시민 위한 문화 플랫폼 될 것”
서울시는 “서울영화센터는 독립영화, 예술영화, 고전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인과 시민 모두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영상산업 및 영상문화 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이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공공성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한 운영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네마테크 건립, #서울시, #스포츠경향, #영화감독, #박찬욱, #봉준호, #서명운동, #서울영화센터, #서울영상진흥위원회, #코로나19, #영화산업, #서울경제진흥원, #지방계약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