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한동훈, 정치적 상승세의 좌초인가?..전당대회, 균열 생긴 정치적 위상

정치 콘텐츠 부재와 리더십 혼란
정치란 메시지와 태도의 싸움이다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한때 보수 진영의 차세대 주자로 각광받던 한동훈 전 장관의 정치적 행보에 제동이 걸렸다. 2025년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그에게 있어 하나의 분기점이자, 뼈아픈 시련의 순간이었다. 측근 다수의 낙선과 최고위원 경선에서의 존재감 부재는 단순한 선거 실패를 넘어, 리더십과 정치적 무게감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한동훈에게 냉정한 민심의 경고장을 던졌다. 한동훈 측 인사들이 대거 낙선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은 한풀 꺾였다. 특히 최고위원 경선에서 보여준 미미한 존재감은, '정치적 간판'으로서의 브랜드가 아직 견고하지 않다는 방증이다. 한때 당내 주도권을 쥘 것이라 평가받았던 그이지만, 이번 결과는 리더십에 대한 신뢰가 아직까지 취약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한동훈 정치의 위기는 단순한 선거 전략 실패에 그치지 않는다. 그 근본에는 이 자리하고 있다.

 

리더십 불신, 초기 강경 이미지로 주목을 끌었지만, 이후 결정적 국면마다 보인 우유부단함은 결단력 부족이라는 비판을 낳았다. "세게 나갈 줄은 아는데, 끝까지 책임지진 않는다"는 인상은 정치 리더로서 致命的이다.

 

구태 인물 재활용, 김근식 등 과거 정치권에서 소비된 인물들이 다시 등장하면서, '새로움'을 기대한 지지층에 실망을 안겼다. 이는 한동훈 정치의 상징성과 차별성을 흐리는 요소다.

 

빈약한 보수 콘텐츠, 정치적 메시지가 ‘비판’ 중심에 그치고, 보수 진영을 재구성할 철학적·정책적 아젠다는 부재했다. 스스로를 '개혁 보수'로 포지셔닝 하려 했지만, 실질적 메시지는 대중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좌파적 이미지와 기회주의 인상, 법무부 장관 시절과 달리 정치 입문 이후 모호한 노선으로 일관하며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커졌다. 보수 진영 내에서는 좌클릭이라는 평가까지 등장했다.

 

전략 혼선, 통합을 외치면서도 실상은 ‘순혈주의’에 가까운 폐쇄성을 유지하며, 당내 다양한 계파와의 조율에 실패했다. 이는 정치적 연대보다는 진영 내부의 소모전으로 이어졌다.

 

프레임에 갇힘, 이준석 전 대표가 붙인 "하고잡이" 프레임은 의외로 강하게 작용했다. 독자적인 정치 서사 없이, '누군가를 견제하기 위해 움직이는 사람'으로 비쳐지며 주체성을 잃었다.

 

정치적 전망

비록 이번 전당대회에서 한동훈 정치의 상승세는 주춤했지만, 정치적 생명력 자체가 끝난 것은 아니다. 여전히 대중적 인지도와 이슈 파이팅 능력은 존재하며, 민주당의 리스크(이재명·조국 리스크 등)가 다시 부각될 경우,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

 

다만, 문제는 이 기회를 어떻게 준비하느냐이다. 민주당의 약세가 다시 찾아왔을 때, 비판 중심의 '소모성 정치'가 아닌, 자기 철학과 정책 콘텐츠를 들고 돌아올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반등은 요원하다.

 

이번 전당대회는 단순한 실패가 아니라, 명백한 경고다. 한동훈 정치가 성공적으로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과제가 존재한다.

 

인물 정비, 과거 정치권의 구태 인사를 과감히 정리하고, 새로운 인재를 발굴해야 한다.

아젠다 구축, 단순한 반대와 비판을 넘어, 자신만의 정치 철학과 국가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결단력 있는 리더십,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책임 있게 행동하는 리더십을 입증해야 한다.

 

결국, 정치란 메시지와 태도의 싸움이다. 향후 한동훈이 정치 무대에 복귀하게 된다면, 그 순간은 단지 ‘빈 공간’을 채우는 것이 아닌, 어떤 콘텐츠와 태도로 돌아오느냐가 진짜 관건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