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자체 기사 ‘비율’ 아닌 ‘수량’이 언론의 기준 되어야

양보다 비율을 강조하는 현재의 언론 평가 방식, 현실과 동떨어져
양적 생산력은 취재 인프라의 척도
제도 개선 요구 커져만 간다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최근 언론계에서는 ‘자체 기사 비율’이 아닌 ‘자체 기사 수량’을 언론 평가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는 언론사들의 실제 취재 역량과 생산력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기 위한 제도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는 주장이다.

 

 

현재 많은 언론 평가 제도에서는 ‘자체 기사 비율’, 즉 전체 기사 중 자사가 직접 생산한 기사의 비율을 주요 지표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방식이 중소 언론사, 특히 지역 언론에게 역차별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언론사가 하루에 기사를 5건 내는데 그중 3건이 자체 기사면 60%고, 하루에 100건 내는데 40건이 자체 기사면 40%입니다. 그런데 후자의 언론사가 훨씬 많은 취재와 제작 역량을 갖췄다는 점은 간과됩니다." 한 언론정책 연구자의 말이다.

 

실제 취재력이 있고 꾸준히 기사를 생산하는 언론사일수록 총 자체 기사 수량이 많을 수밖에 없지만, 비율만 따질 경우 기계적으로 기사를 줄여서 비율을 높이는 ‘눈속임’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일부 언론사는 기사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오히려 평가 점수를 높이는 기형적 구조도 발생하고 있다.

 

언론은 정보를 직접 수집·검증·보도하는 기능을 통해 공익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그 역량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는 단순한 ‘비율’보다 얼마나 많은 기사, 특히 자체 생산 기사를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와 인력, 지속 가능성을 갖췄는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언론의 신뢰성과 공적 기능을 평가하고 지원 대상을 결정할 때는 자체 기사 수량이 보다 합리적인 기준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정부의 광고 지원, 미디어 바우처 배분 등에서 이러한 생산 역량을 정확히 반영한 정량적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국회에서 열린 ‘미디어 바우처 제도’ 정책토론회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지적됐다. 언론계와 학계에서는 바우처 배분 기준을 정할 때 실제 저널리즘 수행 역량, 즉 자체 기사 수량을 포함한 다양한 정량적 지표가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시민이 언론을 평가하는 바우처 제도라 할지라도, 그 기반에는 언론사의 실제 보도 활동에 대한 최소한의 객관적 검증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율 중심’의 언론 평가 방식은 언론 생태계를 왜곡시킬 수 있다. 

 

진정한 언론의 기준은 얼마나 많이, 꾸준히, 책임 있게 기사를 생산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제는 언론의 양적 생산력, 즉 자체 기사 수량을 기준으로 삼는 평가 체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