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원/경기뉴스1】 글 | 유형수 기자
고양시는 인구 100만이 넘는 대도시이자, 서울과 바로 맞닿아 있는 수도권 핵심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 대도시의 풍경 속에도 우리는 여전히 논과 밭, 그리고 농부의 숨결이 살아 있는 고양시만의 ‘농업의 시간’을 발견합니다.
농업은 도시의 성장 동력이다
농지 보전과 도시계획 연계
로컬푸드·공공급식 연계 유통 혁신
많은 분들이 고양을 첨단산업, 문화예술, 미래도시로 떠올리지만, 저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농업이 도시의 미래를 견인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다만 그 잠재력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선, 이제 행정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농업의 성장 파트너’로 나서야 할 때입니다.
고양시는 한강, 북한산, 장항습지 등 수도권에서 보기 드문 자연환경을 품고 있습니다. 덕양구, 일산동·서구 외곽 지역에는 아직도 작물과 계절이 흐르는 농촌마을이 존재합니다. 특히 로컬푸드 농업, 도시형 스마트팜, 생태관광 연계 농업은 고양시 농업이 갖고 있는 핵심 경쟁력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농업인의 고령화, 도심 개발 압박, 농지 축소, 유통 판로 문제는 여전히 농업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농업은 고양에서 점차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의 고양시 행정은 단순한 농기계 지원, 소득보전 중심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이제는 농업을 도시 전략의 일부로 편입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성장 비전을 제시해야 합니다.
도시 확장 속에서도 농지는 ‘미래 자산’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고양시는 도시계획과 농업의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농지 보전지구 설정과 유휴농지 활용 정책을 확대해야 합니다.
고양형 로컬푸드 플랫폼을 확대하고, 어린이집·학교·공공기관의 급식과 연계해 생산-소비-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농민의 안정적 판로, 소비자의 안전한 먹거리, 시의 지속 가능한 먹거리 체계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농지는 있어도 사람이 없다면 농업은 사라집니다. 청년과 귀농인이 고양에서 안정적으로 농사를 짓고, 정착할 수 있도록 농지 임대–주거–교육–창농자금을 하나로 묶은 원스톱 창농 지원 체계가 절실합니다.
고양은 생태도시입니다. 탄소중립 시대, 농업 또한 환경 중심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고양시는 친환경 인증 확대, 저탄소 농법 보급, 치유농업·경관농업 등 다원적 가치가 있는 농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농업이 왜 필요하냐”고 묻습니다. 하지만 도시가 커질수록 먹거리의 안정성, 생태적 지속 가능성, 지역 정체성을 지키는 농업의 가치는 더욱 중요해집니다.
고양시가 추구하는 스마트 생태도시,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라는 비전도 결국 도농 균형 위에 서 있어야 실현 가능합니다.
끝으로, 농업을 향한 행정의 태도가 바뀌어야 합니다
농업은 이제 보조금의 대상이 아니라, 투자의 대상입니다. 고양시 농업은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충분히 갖추고 있습니다. 이 기반 위에 행정이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길을 열어준다면, 고양시는 수도권에서 가장 선도적인 도시형 농업 도시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농촌과 농민의 성장은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만듭니다.
행정과 의정은 이제 그 성장을 설계하고, 함께 뛰는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