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지난 몇 달간, 고양시를 중심으로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눈에 띄는 논쟁이 떠올랐다.
주인공은 다름 아닌 고양시의 대표적 공기업이자 국내 최대 전시장인 킨텍스(KINTEX), 그리고 그곳의 ‘감사’ 임명과정이었다.
사건의 발단은 단순했다.
킨텍스의 신임 감사 후보를 선임하는 과정에서 “절차가 불투명하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곧이어 ‘정치적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감사 추천에 관여한 인물과 내부 심사 기준, 시의회와의 소통 여부 등을 둘러싼 논란이 점차 확대되며, 사안은 하나의 공공기관 인사 문제를 넘어, 고양시 공공행정 전반에 대한 신뢰의 문제로 확산되었다.
이에 고양시의회는 2025년 6월, 한 가지 결정을 내린다.
킨텍스 감사 인사 과정을 전면 점검하기 위해, ‘킨텍스 인사(감사) 추천 공정성 강화를 위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한 것이다. 행정사무조사라는 지방의회의 강력한 수단이 발동된 것은 그만큼 사안이 중대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특별위원회는 곧바로 조사에 착수했다. 킨텍스를 비롯해 고양시청 관련 부서에 자료 제출을 요구했고, 인사 관련 회의록과 감사 후보 심사 기준, 외부 추천 절차에 대한 검토가 진행됐다. 특위 소속 의원들은 킨텍스를 직접 방문해 현장 상황을 점검했고, 일부 인사 책임자들에 대한 면담과 질의도 병행했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들은 생각보다 복잡했다.
감사 후보군이 내부에서 어떻게 선정되었는지, 외부 인사 추천은 누구를 통해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무엇보다 그 기준이 얼마나 일관되고 공정했는지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받기 어려웠다. 일부 의원은 “시의회와 논의 없이 감사 추천이 거의 일방적으로 이뤄졌다”고 지적했고, 시민단체들은 “공공기관 인사를 사유화하려는 시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위의 활동은 단지 감사 한 사람의 자격을 따지는 데 그치지 않는다.
감사의 자리는 조직 내부를 감시하고, 윤리를 바로잡는 자리다.
그 자리에 오르는 과정이 불투명하거나 정치적이면, 해당 기관 전체의 신뢰가 흔들린다. 특히 킨텍스처럼 규모와 영향력이 큰 공기업의 경우, 그 상징성과 책임감은 더욱 막중하다.
이번 행정사무조사는, 공공기관 인사가 ‘누구의 기준’에 따라 이뤄져야 하는지를 되묻는 장치였다.
시는 시민에게 책임을 지는 행정 주체이고, 시의회는 그 과정을 견제하고 감시해야 할 기관이다. 이 균형이 무너질 때, 시민의 신뢰 또한 함께 무너질 수밖에 없다.
특위는 조만간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제도 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할 계획이다.
감사 추천 절차의 투명화, 외부 전문가 검증제도 도입, 시의회의 사전 동의 절차 강화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킨텍스에만 국한되지 않고, 고양시 산하 전체 공공기관 인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감사의 자격’이라는 단순한 질문은 결국,
공정한 행정의 시작이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이었다.
고양시의회가 이 질문에 어떤 답을 내놓을지, 시민들은 이제 그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