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칼럼] 당원 주권, 누구의 손에서 살아날 것인가

정청래 vs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선의 두 리더십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2025년 8월, 더불어민주당은 다시 한 번 당의 진로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 당대표 선거에 나선 정청래 후보와 박찬대 후보는 각기 다른 리더십과 철학을 들고 당원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이번 경선은 '당원 주권'이라는 핵심 가치를 놓고, 그 실현 방식을 둘러싼 두 후보의 뚜렷한 차별점이 부각되고 있다.

 

정청래 후보는 전통적 '개혁 강경파'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당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정당의 주인이다”라는 선언을 중심에 두고 있다. 그는 ‘권리당원 1인 1표제 도입’, ‘전략공천 당원 추인제’ 등 일련의 제도 개편을 통해 권리당원의 직접 정치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기초 비례대표 선출까지 당원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은, 단순한 당헌 개정을 넘어 정당 문화의 체질 자체를 바꾸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의 공약은 전체적으로 당원 참여의 강화를 넘어, '당원 권력화'라는 표현이 어울릴 만큼 직접성과 즉시성이 강하다. 여기에 '검찰·사법·언론 개혁 TF 즉시 구성', '내란·불법계엄 특별법 발의' 등의 사법개혁 드라이브도 더해지면서, 정청래 후보는 '싸우는 당대표', '강한 추진력의 아이콘'이라는 이미지로 지지층을 결집하고 있다.

 

반면 박찬대 후보는 정당 운영의 '시스템화'를 강조하는 실용주의적 리더십을 내세우고 있다. 그는 ‘전당원 투표제 상설화’, ‘당원 주권국 신설’, ‘당내 선거 공영제 도입’ 등을 통해, 정당 내 의사결정과정에 당원이 상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이는 일회성 개혁이나 이벤트성 조치가 아닌, 제도와 절차 속에서 당원 주권이 지속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접근이다.

 

박 후보의 공약은 현장 민원 청취, 정책박람회 개최, 디지털 정당 플랫폼 구축 등 당원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실질적 장치들을 담고 있다. 특히 ‘당대표 직속 민원실’과 같은 조직 개편은, 단순한 참여를 넘어 당원이 당 운영에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복안이 담겨 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성공은 곧 당의 성공”이라는 기조 아래, 당정협력을 통한 국정 안정과 민생 회복을 주요 방향으로 삼고 있다.

 

두 후보 모두 당원 중심 정당을 만들겠다는 점에서는 공통분모를 공유하지만, 실현 방식과 전략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정청래 후보가 당원을 ‘즉각적 정치 주체’로 내세우는 직선형 리더십이라면, 박찬대 후보는 당원을 ‘지속 가능한 의사결정 파트너’로 삼는 제도형 리더십에 가깝다.

 

당의 미래를 결정하는 이 선거에서, 당원들이 주목해야 할 것은 단지 어떤 메시지가 더 강렬하냐가 아니다. 과연 어떤 리더십이 당원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가, 그리고 어떤 방식이 당을 더 건강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라는 점이다.

 

정청래의 ‘강한 개혁과 직접 참여’ 모델이든, 박찬대의 ‘제도 개편과 안정된 운영’ 모델이든, 이번 선택은 민주당을 앞으로 2년, 아니 그 이상 이끌어갈 방향을 결정짓게 될 것이다.

 

결국, 민주당의 진짜 주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은 당원들 스스로의 선택으로 답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