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획] 경기도, 31개 시·군과 함께한 3년…민생부터 기후까지 ‘기회수도’ 실현

지방정부 협치, 31개 시·군과 ‘함께 그리는 도정’

【수원=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김동연 경기도지사 취임 3년, 경기도는 도내 31개 시·군과 함께 민생, 복지, 교통, 기후, 산업 등 전 분야에 걸쳐 지역 맞춤형 지원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해왔다.

 

 

단순 보조금 분배를 넘어, 지자체 자율성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통합 정책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2022년 취임 직후, 김 지사는 ‘비상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농수산물 할인, 청년 금융 지원, 급식·돌봄 예산 확대 등 취약계층을 직접 겨냥한 실질적 지원책을 시·군별로 맞춤 적용했다.

 

특히 청년층을 위한 기본대출 시범사업과 여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은 전국 최초·최대 규모로 도입되어 호응을 얻었다.

 

김 지사는 기후 위기를 지역 정책 중심으로 끌어올렸다. ‘경기 RE100 펀드’를 통해 31개 시·군이 재생에너지 발전소 설치와 수익 공유 모델을 함께 운영하며, 2026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재생에너지 생산 9GW 확보라는 공동 목표를 설정했다. 

 

2024년부터 본격화된 ‘경기패스’는 도민 누구나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요금 일부를 돌려주는 정책으로, 청년·저소득층에게 최대 53%까지 환급 혜택을 제공한다.

 

이는 31개 시·군의 대중교통 복지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으로, 교통이동권을 ‘복지’로 정의한 상징적 사례다.

한편 시내버스 반공영제 도입은 지자체 교통 서비스 질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토대를 마련했다.

 

김 지사는 “기회의 균형이 지역의 힘”이라고 강조하며, 반도체·바이오·모빌리티 산업 중심의 균형 투자전략을 실행에 옮겼다.

 

2022년~2025년까지 약 100조 원 규모의 국내외 투자 유치를 성공시키며, 용인·화성·평택 등 시·군의 산업벨트 구축을 주도했다.

 

지역마다 특화산업을 연계한 ‘산업 클러스터 분산 전략’은 수도권 과밀 문제의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행정 중심의 일방향 정책에서 벗어나, 31개 시·군과 실질적 협치를 구축했다.

 

도지사 직속 ‘시장·군수 정책협의회’를 통해 정례적인 논의 구조를 만들고, 교육·복지·재정·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군이 직접 목소리를 내는 정책 구조를 제도화했다. 지방행정이 현장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로 평가된다.

 

김동연 지사는 도정 슬로건을 ‘기회수도 경기’로 정했다.

 

지방정부와 31개 시·군이 함께 만든 지난 3년은 단순한 행정운영을 넘어, 정책 설계부터 집행까지 지역과 함께 만드는 구조로 전환한 시기였다.

 

이제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가장 넓게 ‘함께 기획하고 함께 책임지는 지역 정책의 실험’을 현실화한 사례로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