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기자단 대표가 ‘간사’인 이유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경찰청 출입기자단 간사가 일정 조율 중이다.’ 언론 보도를 자주 접하다 보면 기자단 대표를 뜻하는 ‘간사’라는 표현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혹자는 이를 공무원 조직에서 쓰는 ‘비서’ 정도로 오해하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기자단 회의를 주관하는 중간 간부쯤으로 여긴다. 그런데 왜 하필 ‘간사’일까? ‘대표’나 ‘단장’ 같은 익숙한 표현이 아닌, 어딘가 일본식 냄새가 나는 이 용어는 어떻게 기자단의 상징이 되었을까? 답은 비교적 분명하다.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일본 기자클럽 문화의 흔적, 그리고 지금까지도 크게 바뀌지 않은 한국 기자단의 자율적 구조 때문이다. 일본의 기자클럽(記者クラブ)에서는 기자단을 대표하는 언론사를 ‘간사사(幹事社)’, 그 역할을 맡은 기자를 ‘간사(幹事)’라고 부른다. 일본 정부 기관이나 정당, 대기업 등 출입처의 브리핑이나 취재를 기자단이 공동으로 관리하면서, 이를 대표해 소통하는 실무자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한국 언론계는 광복 이후에도 이 모델을 그대로 차용했고, 간사라는 말도 자연스럽게 뿌리내렸다. 흥미로운 건 이 ‘간사’가 공식 직책이 아니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경우, 기자단은 법적인 지위가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