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칼럼] "지역을 바꾸려면, 정치인을 탓하기 전에 정치를 움직일 사람을 찾아야 한다"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지방 도시 하나가 쇠퇴하는 데에는 20년이면 충분하다.

청년이 떠나고, 일자리가 줄고, 병원과 학교가 하나씩 문을 닫으면, 도시는 점점 ‘살기 불편한 곳’이 된다.

그리고 그 속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하지만 반대로, 지역을 살리는 데 필요한 건 단 한 사람의 국회의원일 수도 있다.

문제는 ‘그 한 사람’을 찾는 일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지역의 문제는 행정으로만 해결되지 않는다

인구 감소, 산업 공동화, 교통 단절, 교육 격차, 의료 사각지대.

이 모든 문제들은 지역 차원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지자체가 아무리 뛰어도, 결국 법과 제도의 한계에 가로막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지역을 바꾸려면, 그 한계를 뚫어줄 사람이 필요하다.

그 사람이 바로 지역구 국회의원이다.

 

국회의원이 지역을 살리는 방법은 단 하나, ‘입법’

예산 따오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예산은 일회성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필요한 건 제도다.

 

낙후된 농촌에는 지속가능한 농촌 지원법

지방대 위기에는 지역 교육 인프라 강화 법안

교통 소외 지역에는 국가철도망 반영을 위한 입법 추진

청년 유출에는 지역 정착형 일자리 지원법

고령화 지역엔 지방형 장기요양제도 확대 법안

 

이처럼, 지역 문제에 맞는 맞춤형 입법과 제도 개선이 이뤄질 때 비로소 도시의 미래가 달라진다.

 

지역구 국회의원은 중앙정치의 '관문'이다

국회의원은 단순한 지역 행사 참석자나 민원 처리인이 아니다.

그는 지역과 중앙을 연결하는 정치의 관문이다.

그가 국회에서 목소리를 내야, 정부 정책이 지역까지 닿는다.

그가 법안을 발의해야, 지역의 현실이 제도로 바뀐다.

 

지역에 맞는 정책은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국회에서 누가 말하느냐, 누가 밀어붙이느냐에 따라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지역을 바꾸는 국회의원을 뽑으려면

정치는 멀리 있고, 삶은 눈앞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정치를 외면하고, 당장 내 삶을 바꾸는 누군가만을 원한다.

 

하지만 지역의 현실을 바꾸고 싶은가?

그렇다면 그 열쇠는 결국 입법과 정책에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지역구 국회의원이 있다.

 

우리가 필요한 건 "유명한 정치인"이 아니라,

"우리 지역을 위해 법을 만들고 제도를 고치는 일꾼"이다.

 

정치는 바꾸기 어렵지만, 사람은 바꿀 수 있다

지역은 누군가가 대신 챙겨주지 않는다.

국가 정책이 수도권 중심으로 흘러가는 지금,

지역은 스스로 자기 사람을 국회에 보내야 살아남는다.

 

국회의원이 다 똑같다고 말하기 전에,

지역 현안을 진심으로 알고, 입법으로 풀 수 있는 사람인지 먼저 따져보자.

 

정치는 복잡해도, 선택은 단순하다.

우리가 누굴 보내느냐에 따라 지역의 4년, 아니 40년이 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