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미래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디지털 혁신, 글로벌 협력,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 등 다방면에서 선도적인 성과를 이루며 교육 혁신의 모델로 자리매김 중이다. 동시에 농어촌 지역 교원 부족과 시설 노후화, 학생 정신 건강 문제 등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도 병행하며 지역 교육 발전을 이끌고 있다. 강원교육청은 ‘디지털 교육 인프라 확충’에 과감한 투자를 단행, AI 기반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도입하며 학생 개개인의 학습 능력에 맞춘 교육을 실현하고 있다. 전국에서도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이 혁신 교육은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이고 학업 성취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일상화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강원교육청은 일본을 비롯한 해외 교육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제 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을 도입한 학교와의 교류 확대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와 선진 교육 시스템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학생 개개인의 진로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오산시가 도시의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사람과 삶, 지역과 산업을 하나로 잇는 ‘길’을 만드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민선 8기 이권재 시장은 “도시의 길을 열고 시민의 삶을 잇는다”는 철학 아래, 교통 인프라 혁신을 시정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단순한 도로 확장이 아닌, 지역 간 단절 해소와 선제적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주거·산업·문화·관광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시장은 “도로는 단순한 인프라를 넘어 도시 성장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라고 강조한다. 현재 오산시는 경부선 철도횡단도로, 양산동~국도1호선 연결도로, 세교1지구~지곶동 연결도로, 서랑저수지 진입도로 등 총 4건의 굵직한 도로개설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들은 단절된 지역을 연결해 주민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경제와 도시 성장을 이끄는 핵심축으로 작동할 전망이다. 도시의 동과 서를 가로막아 온 경부선을 넘는 교통 해법이 드디어 가시화되고 있다. 경부선 철도횡단도로는 세교2지구의 주거·산업·상업기능 확장을 이끄는 중추 인프라로 주목받는다. 현재 새벽 시간대 철도 위 고난도 공정이 진행 중이며, 오산시는 2029년 말 완공을 목표로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