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원/경기뉴스1]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문화안전소방위원회는 17일 제423회 제2차 정례회에서 소리축제조직위원회 소관 2025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의원별 주요 발언은 다음과 같다.
박정규 위원장(임실)은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의 상임위원회 운영 구조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상임위는 11명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제 운영은 조직위원장·집행위원장·문화국장 등 소수가 사실상 모든 결정을 주도하는 운영 체계를 질타했다. 또한, 임금 인상 역시 행정팀장이 서류를 올리고 집행위원장의 서명으로 처리되는 등 인사·보수 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점도 강력히 질타하며, 최소한의 견제 장치와 절차적 시스템 구축 및 조직 운영 전반에 대한 근본적 재정비를 촉구했다.
이명연 의원(전주10)은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수의계약의 절차의 적정성에 대해 지적했다. 소리축제조직위원회의 수의계약은 2023년 42건, 2024년 30건에서 2025년 61건으로 크게 증가했고, 계약금액도 같은 기간 약 7.9억원, 5.7억원에서 2025년 약 9.5억원으로 늘어났음에도 대부분의 계약이 낙찰률 100%로 체결됐고, 일부는 100%를 초과하는 등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 기준'과 전북자치도 자체 기준을 사실상 지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계약 건수와 금액은 늘었는데, 낙찰률이 100% 이상까지 나오는 구조는 정상적인 경쟁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신호”라며 질타했다.
박용근 의원(장수)은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공연에서 발생한 조직위원장의 폭언 논란에 대해 철저한 조사와 피해 직원 보호를 촉구했다. 당시 조직위원장은 모욕적 표현을 반복, 이후 퇴장 문제를 두고 조직위원장의 가족과 안내원 간 실랑이가 계속되면서 주변 관객들까지 항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박용근 의원은 “전북을 대표하는 문화축제의 조직위원장이 현장에서 직원에게 폭언을 했다는 증언이 나온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피해 직원에 대한 보호 조치와 사실관계 확인,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정기 의원(부안)은 전주세계소리축제 운영 과정에서 급여체계의 불합리와 경력자 이탈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며 전북도의 철저한 관리·감독을 촉구했다. “경력자 이탈은 축제 운영 전문성을 떨어뜨리고 조직의 지속성을 해치는 중대한 문제”라고 강조하며, 전북도 문화체육관광국이 보다 체계적인 관리·감독 방안을 마련해 이런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정수 의원(익산4)은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의 상임위원회 운영이 소수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러한 구조가 축제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임위원회는 축제 운영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임에도, 특정 몇 명이 주요 결정을 주도하는 구조가 지속돼 왔다”며 “이 같은 문제를 알면서도 개선하지 않은 것은 책임 있는 운영이라 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