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리는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의 특별연주회 <광복의 빛을 넘어>는 80년 전 그날의 감격과 민족의 염원을 예술로 되살리는 감동의 무대가 될 것이다.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는 우리 민족에게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수많은 이들이 목숨을 걸었던 그 역사, 그리고 되찾은 조국의 기쁨과 눈물의 순간을 되돌아보는 시간.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이동훈)은 이 소중한 날을 기리기 위해 광복의 기억과 감동을 국악의 선율로 되살리는 특별한 무대를 준비했다.
이번 연주회는 단순한 기념공연을 넘어, 광복의 의미를 국악이라는 예술 언어로 풀어낸 깊이 있는 기획으로 주목받는다.
남도창, 살풀이춤, 가야금 협주, 합창과 관현악이 어우러지며 일제강점기의 아픔과 광복의 기쁨,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향한 희망을 무대 위에서 그려낸다.
첫 곡 '하나의 노래, 애국가'는 여성 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의 감동적인 애국가 제창 장면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으로, 우리 민족의 불굴의 의지를 국악으로 승화시킨 서곡이다.
이어서 펼쳐지는 ‘푸살’에서는 살풀이춤과 남도창이 결합되어, 억눌렸던 민중의 한과 그것을 풀어내는 예술의 정수를 보여준다. 가야금 협주곡 ‘우륵의 춤’은 찬란한 전통문화의 정신과 민족적 자긍심을 드러낸다.
특히 주목할 만한 대목은, 독립군과 광복군이 실제로 불렀던 노래를 현대 국악관현악으로 재현하는 무대다. ‘나 가거든’, ‘독립군가’, ‘광복군 행진곡’ 등이 부산오페라단 5중창과 소년소녀합창단의 목소리로 재해석된다. 이는 단지 음악이 아닌, 그날의 외침을 다시 듣는 순간이 될 것이다.
공연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아리랑’과 ‘내 나라 내 겨레’는 전통과 현대, 슬픔과 희망을 모두 담아내며,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대서사시의 피날레를 완성한다.
이번 특별연주회는 과거의 아픔을 기억하는 동시에, 광복의 정신을 미래세대와 나누고 계승하는 자리다.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은 "국악을 통해 우리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무대는 전 부산MBC 아나운서 손지현의 사회, 살풀이춤(김주연), 가야금 협연(김남순), 소프라노 박예은 등 다채로운 예술가들의 협업으로 더욱 풍성하게 꾸며진다.
<광복의 빛을 넘어>는 80년 전 그날의 감동을 오늘의 언어로 노래하는 무대다.
한 곡 한 곡, 한 소절 한 소절에 담긴 선조들의 희생과 염원을 통해, 관객들은 단순한 감상이 아닌 공감과 다짐의 시간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오늘의 대한민국을 다시 바라보는 이 뜻깊은 무대에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기대된다.